네트워크 개념 (Concept of Network)
네트워크란 모뎀이나 LAN, 케이블, 무선 매체 등 통신 설비를 갖춘 컴퓨터로, 서로 연결하는 조직이나 체계 통신망을 말한다.
NOTE!
네트워크: 모뎀이나 LAN, 케이블, 무선 매체 등 통신 설비를 갖춘 컴퓨터로, 서로 연결하는 조직이나 체계 통신망
즉, 통신 설비로 두 대 이상의 컴퓨터를 서로 연결하는 것이다.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는 시공간에 제약을 받지 않고 원하는 정보를 공유하며 활용할 수 있다. 다수의 컴퓨터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했을 때의 장점은 다음과 같다.
데이터 공유 (Data Sharing)
데이터를 서버인 중앙 컴퓨터에 저장하면 하나의 데이터 파일에 해당하는 마스터 사본을 서버에 저장하고 필요할 때마다 사용자가 마스터 사본에 접근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여러 사용자가 함께 이용하기 위해 네트워크로 공유된 파일은 특정 권한이 있는 사용자만 데이터를 읽고 수정 가능해야 한다.
주변장치 공유 (Peripheral Device Sharing)
하나의 장치를 네트워크로 연결해서 공유하면 비용을 절약하면서 장치를 중앙 집중화할 수 있기에 관리하기가 편해진다. 예를 들어 프린터의 경우, *스풀링 프로세스를 활용하면 다수의 사용자가 하나의 프린터에 여러 작업을 동시에 보낼 수 있고 특정 작업에 우선순위를 부여해 다른 작업보다 먼저 출력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NOTE!
스풀링 프로세스: 컴퓨터 시스템에서 중앙처리장치와 입출력장치의 처리 속도 차이로 인한 대기 시간을 줄이기 위해 사용하는 기법
능률적인 통신 (Efficient Sommunication)
네트워크를 통해 송신자와 수신자 사이에서 문자나 음성 등의 메세지를 교환하는 “이메일 송수신” 등의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다.
손쉬운 백업 (Convenient Back-Up)
네트워크를 이용하면 각 사용자가 접근 가능한 공유 저장장치 중 하나에 모든 데이터를 손쉽게 백업할 수 있고, 자동 백업을 진행하는 네트워크 백업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면 파일을 매번 백업 서버에 직접 복사할 필요가 없다.
데이터 전송 규칙 (Rules for Data Transmission)
네트워크가 연결되면 컴퓨터 간의 파일 전송, 웹 사이트 접속, 메일 송수신 등의 작업이 가능하다. 그러나 네트워크나 인터넷에서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에는 규칙이 필요하다.
패킷 (Packet)
웹 브라우저를 통해 웹 사이트의 내용을 볼 때, 패킷을 사용한다. 패킷이란 컴퓨터 간에 데이터를 주고 받을 때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의 전송 단위이다. 패킷은 헤더, 페이로드, 제어 요소 등을 포함하는 데이터 세그먼트이다.
NOTE!
패킷: 컴퓨터 간에 데이터를 주고 받을 때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의 전송 단위
- `헤더(Header)`: 데이터의 형태와 데이터의 송수진지, 일련번호 등으로 구성된다.
- `페이로드(Payload)`: 실제 전송 데이터를 포함한다.
용량이 큰 데이터를 전송할 때는 데이터가 네트워크의 *대역폭을 많이 점유하여 다른 패킷의 흐름을 방해할 위험을 없애기 위해서 용량이 큰 데이터를 그대로 보내지 않고 데이터를 작게 나누어 보내야 한다.
NOTE!
대역폭: 네트워크에서 이용 가능한 신호의 최고 주파수와 최저 주파수 차이를 말하며,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최대 전송 속도
이때, 분할된 패킷은 수신지로 전송 시 네트워크 상황에 따라 전송한 순서대로 도착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수신지에서 분할된 패킷을 원래대로 재결합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네트워크가 지연되면 패킷이 늦게 도착하거나 손실 가능성도 존재한다.) 일련 번호 순서대로 패킷이 도착하지 않아도 원래도 재조립이 가능한 것은 패킷이 디지털 데이터이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