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llo World!

|

[소프트웨어 공학] - UML: 동적 모델링 다이어그램 (Dynamic Diagram)
·
💻 Computer Science/소프트웨어 공학
동적 모델링 다이어그램 (Dynamic Modeling Diagram) 동적 모델링은 소프트웨어가 실행될 때마다 변경될 수 있는 “동적 측면”을 모델링하는 것이다. 소프트웨어의 동적 측면은 시간의 함수로 이해할 수 있다. 동적 모델링 다이어그램은 정적인 클래스 다이어그램을 보완한다. 즉, 클래스 다이어그램은 소프트웨어의 정적 구조를 모델링하고, 여러 동적 다이어그램은 말그대로 동적 동작들을 모델링한다. 주로 시스템 전체 동작과 오퍼레이션을 모델링할 때 주로 동적 모델링 다이어그램을 사용한다. 대표적인 동적 모델링 다이어그램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다이어그램설명사용 시점시퀀스 다이어그램 (Sequence Diagram)시스템 내 객체 간의 메시지 교환 순서를 시간 흐름에 따라 표현한다.기능 구현, 시스템 ..
[소프트웨어 공학] - UML: 정적 모델링 다이어그램 (Static Diagram)
·
💻 Computer Science/소프트웨어 공학
정적 모델링 다이어그램 (Static Modeling Diagram) UML에서 정적 모델링이란 객체들의 공통 구조와 동작들을 추상화(모델링)시킨 것으로, 객체지향 개념으로부터 시작한다. 즉, 객체지향의 핵심 개념(클래스, 객체, 캡슐화, 상속 등)을 시각적으로 표현한 것이 정적 모델링이다. 대표적인 정적 모델링 다이어그램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다이어그램설명사용 시점클래스 다이어그램(Class Diagram)시스템의 클래스와 클래스 간의 관계를 표현한다.설계 단계 (특히 상세 설계)객체 다이어그램(Object Diagram)클래스 다이어그램을 바탕으로 특정 시점의 객체 상태를 보여준다.설계 or 테스트 시나리오 설명컴포넌트 다이어그램 (Component Diagram)시스템을 구성하는 컴포넌트(모듈) 간..
[소프트웨어 공학] - 유스케이스와 UML (Use Case & UML)
·
💻 Computer Science/소프트웨어 공학
유스케이스 (Use Case) 유스케이스란 시스템이 제공해야 할 기능을 사용자 중심으로 설명하는 방법으로, 시스템의 동작을 모형화하는 것이다. 유스케이스는 액터, 시스템 범위, 유스케이스, 관계 이렇게 네 가지 요소로 결합된 것으로 각각의 요소의 의미와 관계를 잘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유스케이스 분석 작업은 다음의 과정으로 이루어진다.액터 찾기유스케이스 찾기유스케이스 사이의 관계 찾기 이 과정을 통해서 유스케이스 다이어그램과 유스케이스 명세가 완성된다.유스케이스 다이어그램 (Use Case Diagram) 유스케이스 다이어그램은 시스템의 기능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자의 요구를 추출하고 분석하기 위해 사용하는 그림으로, 외부에서 보는 시스템의 동작에 초점을 맞춘다. 유스케이스 다이어그램은 “액터(Acto..
[소프트웨어 공학] - 요구 분석(Requirements Analysis)
·
💻 Computer Science/소프트웨어 공학
요구의 정의 (Concept of Requirements) 요구란 시스템이 무엇을 해야 하며 어떤 특징을 가져야 하는지 명확히 정의한 것이다.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반드시 먼저 사용자의 요구를 이해하는 단계를 가져야 한다. 이것이 바로 요구 분석이다. 사용자가 진정으로 원하는 요구를 찾는 것은 쉽지 않은데, 프로젝트의 이해 당사자들이 생각하는 비지니스 우선순위가 다르고 시스템에 요구하는 역량이 다르기 때문이다. 요구 분석 단계에서는 “제약(Constraint)”도 고려해야 하는데, 이는 정치적이거나 사업적인 고려에 의한다. 제약 사항은 소프트웨어 시스템의 해결책을 제한한다. 요구와 제약은 요구 분석 명세서에 잘 정리되어야 한다. 소프트웨어에 대한 요구는 크게 기능 요구와 비기능 요구로 분류된다.기능 요..
[컴퓨터 네트워크] - TCP/IP 개론 (Introduction of TCP/IP)
·
💻 Computer Science/컴퓨터 네트워크
TCP/IP 개론 (Introduction of TCP/IP) OSI 참조 모델의 7계층은 서로 독립적이기에 어느 한 계층이 변경되어도 다른 계층에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 OSI 참조 모델의 7계층을 4계층으로 단순화하면 TCP/IP 모델이 되는데, TCP/IP 모델은 현재 매우 널리 사용하는 모델이다.  TCP/IP 모델은 OSI 참조 모델의 물리 계층과 데이터 링크 계층을 합쳐 “네트워크 접속 계층”으로, 세션 계층과 표현 계층과 응용 계층을 합쳐 “응용 계층”이 된다. 그리고 네트워크 계층과 전송 계층은 각각 그대로 이어진다.  TCP/IP 모델은 하나의 네트워크나 다른 네트워크의 송신지에서 수신지까지 데이터를 주고 받으며 네트워크 접속 계층에서 하는 일은 LAN과 WAN을 연결하여 인터넷을 구성한..
[컴퓨터 네트워크] - OSI 참조 모델 (OSI 7 Layer Model)
·
💻 Computer Science/컴퓨터 네트워크
OSI 참조 모델 (OSI Model) 과거 통신 업체에서 사용한 네트워크 구조(ex: SNA, DNA)는 호환성을 고려하지 않고 자신의 시스템에만 적용되는 폐쇄형 네트워크 구조였다. 이로 인해 네트워크 구조와 프로토콜 등에 차이가 있어 문제가 생겼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국제표준화기구(ISO)에서는 서로 다른 컴퓨터 간 통신 기능을 일곱 계층으로 구분하고, 구분된 계층마다 표준화된 서비스와 프로토콜을 규정한 OSI 참조 모델을 제시했다.  OSI 참조 모델은 기본적으로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의 논리적 변경 없이 시스템 간 통신을 개방한다. 따라서 유연하고 안전하고 상호 연동이 가능한 네트워크 구조를 설계할 수 있게 되었다.OSI 7계층 (OSI 7 Layer) OSI 참조 모델은 각각 특정 기능을 수행..
[컴퓨터 네트워크] - 네트워크 종류 (Network Type)
·
💻 Computer Science/컴퓨터 네트워크
근거리 네트워크 (LAN) 근거리 네트워크는 비교적 가까운 지역에 한정된 통신망을 말하며, 컴퓨터 뿐만 아니라 다른 네트워크 장비를 연결/접속하여 통신할 수 있도록 구성한 네트워크 시스템을 말한다. LAN은 다양한 장치와 연결하기 편하고 재배치와 확장이 자유로우며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LAN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단일 기관의 소유로 수 km 범위 내의 지역으로 한정된다.네트워크 기기에 상관없이 서로 통신이 가능하다.광역 전송 매체를 사용하여 고속 통신이 가능하다.많은 사용자가 단일 매체로 지연 없이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좁은 구간에서 통신하기에 전송 지연 시간이 짧고 확장하기 쉽다.LAN 전송 방식 LAN에서 케이블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은 “베이스밴드” 방식과 “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