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llo World!

It's time to|

[운영체제] - 쓰레드 (Thread)
·
💻 Computer Science/운영체제
쓰레드 (Thread)프로세스가 생성되면 CPU 스케줄러는 프로세스가 해야 할 작업을 CPU에 전달하고 실제 작업은 CPU에서 진행된다. 이때 CPU 스케줄러가 CPU에 전달하는 실행 단위가 쓰레드이다. 즉, 쓰레드란 프로세스의 코드에 정의된 절차에 따라 CPU에 작업 요청을 하는 실행 단위이다. 운영체제 입장에서 작업 단위는 프로세스이고, CPU 입장에서 작업 단위는 쓰레드인 것이다. CPU와 프로그래밍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멀티 코어를 지원하는 CPU가 생겨갔고 멀티쓰레드를 지원하기 시작했다. 현대의 운영체제는 프로세스를 다양한 쓰레드로 나누어 여러 개의 코어에 배분하여 시스템의 효율을 높인다. 잠깐 쓰레드와 관련된 용어를 살펴보도록 하겠다. 헷갈리지 않도록 잘 정리하도록 하자.멀티쓰레드(Multi-..
[운영체제] - 프로세스 (Process)
·
💻 Computer Science/운영체제
프로세스 (Process)프로세스는 운영체제에서 하나의 작업 단위이며, 실행 중인 프로그램을 의미한다. 프로그램은 저장장치에 저장된 정적인 상태이고, 프로세스는 실행을 위하여 메모리에 올라온 동적인 상태를 말한다. 프로그램이 프로세스로 전환되기 위해서는 프로세스 제어 블록(PCB)이 필요하다. 프로그램이 프로세스가 되려면 운영체제로부터 프로세스 제어 블록을 덩어야 하고, 프로세스가 종료되면 해당 프로세스 제어 블록은 폐기된다.프로세스 구조프로세스는 코드 영역, 데이터 영역, 스택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코드 영역(Code Area): 프로그램의 본문이 기술된 곳으로, 개발자가 작성한 프로그램은 코드 영역으로 탑재되고 읽기 전용으로 처리된다.데이터 영역(Data Area): 코드를 실행하며 사용하는 변수,..
[운영체제] - 컴퓨터 성능 향상 (Improve Computer Performance)
·
💻 Computer Science/운영체제
폰 노이만 구조 (Von Neumann Architecture)현대 컴퓨터는 대부분 "폰 노이만 구조"를 따른다. 이는 CPU, 메모리, 입출력장치, 저장장치가 버스로 연결된 구조로, 하드웨어는 그대로 두고 작업을 위한 프로그램만 교체하여 메모리에 올리는 방식으로 동작한다. 폰 노이만 구조에서 가장 중요한 개념은 바로 "모든 프로그램은 메모리에 올라와야 실행할 수 있다"는 것이다. 저장장치에 있는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프로그램이 메모리에 올라와야 하는 것이다. 운영체제 또한 프로그램이기에 메모리에 올라와야 실행할 수 있다. 컴퓨터의 전원을 켰을 때 운영체제를 메모리에 올려서 실행해야 하는데 이를 "부팅(Booting)"이라고 한다. 부팅 과정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사용자가 컴퓨터의 전원을 켜면..
[운영체제] - 운영체제 개요 (Introduction of Operating System)
·
💻 Computer Science/운영체제
컴퓨터는 데이터(Data)를 처리하고, 그 처리한 결과를 출력하거나 저장한다. 이때, 데이터를 처리하는 결과를 "정보(Informaton)"이라고 한다. 컴퓨터는 크게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로 구성되는데, 소프트웨어는 하드웨어에 명령을 내려 작업을 수행하여 데이터를 가치 있는 정보로 변환한다. 운영체제 정의운영체제란 컴퓨터 전체를 관리하고 운영하는 소프트웨어로, 컴퓨터를 관리하기 위한 기본적인 규칙과 절차를 규정하여 컴퓨터 내의 모든 하드웨어와 응용 프로그램을 관리한다. 컴퓨터 전원을 켜면 가장 먼저 실행되는 프로그램이며 사용자나 응용 프로그램들은 운영체제를 통해서만 컴퓨터 자원에 접근 가능하다. 운영체제는 주로 다음의 역할들을 수행한다.자원 관리: 운영체제는 컴퓨터 자원을 응용 프로그램에 적절히 나누어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