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료구조] - 해시 테이블과 해싱 (Hash Table & Hashing)
·
💻 Computer Science/자료구조-알고리즘
해싱은 "탐색 알고리즘"에 대한 공부를 전제로 합니다. 선형 탐색, 이진 탐색 등 탐색 알고리즘에 대해서 잘 알지 못한다면 이번 포스팅의 이해가 쉽지 않을 것입니다. 그렇기에 해시 알고리즘을 공부하기 전 탐색 알고리즘을 먼저 공부하고 그 후에 이 포스팅을 읽으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탐색 알고리즘 공부하기)해싱 개요탐색 알고리즘을 공부하면 배우는 "선형 탐색"이나 "이진 탐색"과 같은 방법들은 어떤 데이터가 어떤 인덱스에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전혀 알지 못할 때 진행하는 방식이며, 키를 저장된 키값과 반복적으로 비교하는 방식으로 탐색합니다. 이러한 방식은 아주 빨라야 $O(\log n)$의 시간 복잡도를 가집니다. 이 정도 시간 복잡도만 가지더라도 괜찮지만 더욱 빠른 탐색을 필요로 하는 경우, 더욱 빠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