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xt.js] - Next-Auth 라이브러리를 통한 로그인 기능 구현
·
📜 Web Programming/Next.js
Next.js에서 로그인 구현 Next.js 프로젝트에서 로그인 기능을 구현할 때, Next-Auth 라이브러리를 사용하면 간편하게 로그인 기능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 (Next-Auth 살펴보기) NextAuth.js Authentication for Next.js next-auth.js.org Next-Auth 라이브러리 세팅하기 npm을 이용하여 터미널에서 Next-Auth 라이브러리를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pages/api/auth/[...nextauth].js 파일을 만들어서 아래 코드를 작성하면 됩니다. npm을 통한 라이브러리 설치 $ npm install next-auth Next-Auth 서버 세팅 (Backend) // pages/api/auth/[...nextauth].js i..
[JavaScript] - 제어문 (Control Flow Statement)
·
📜 Web Programming/JavaScript
제어문 개요 조건에 따라 코드 블록을 한 번 또는 반복적으로 실행할 때 제어문이 사용된다. 일반적인 코드는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진행되지만 제어문을 사용할 경우 코드의 실행을 의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자바스크립트는 블록문을 하나의 실행 단위로 취급되는데 이때, 블록문이란 0개 이상의 문을 중괄호로 묶은 것으로 “코드 블록”이라고도 불린다. 블록문은 제어문이나 함수를 정의할 때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조건문 조건문은 주어진 조건식의 평가 결과에 따라 코드 블록의 실행을 결정한다. 이때, 조건식은 불리언 값으로 평가될 수 있는 표현식이다. 조건식은 기본적으로 if-else문과 switch문, 두 가지 조건문을 제공한다. if-else문 if-else문은 주어진 조건식의 평가 결과(true, false)에 ..
[JavaScript] - 연산자 (Operator)
·
📜 Web Programming/JavaScript
연산자 (Operator) 연산자는 하나 이상의 표현식을 대상으로 연산을 수행하여 하나의 값을 만드는 것이다. 연산의 대상을 피연산자라고 하며, 피연산자는 값으로 평가될 수 있는 표현식이어야 한다. 연산자와 피연산자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연산자 표현식 또한 값으로 평가될 수 있는 표현식이다. 산술 연산자 산술 연산자는 피연산자를 대상으로 수학적 연산을 진행하여 새로운 숫자 값을 만들어낸다. 연산이 불가능한 경우, NaN을 반환한다. 산술 연산자에 따라 피연산자의 값을 변경하는 부수 효과가 있다. 산술 연산자는 "이항 산술 연산자"와 "단항 산술 연산자"로 구분된다. 이항 산술 연산자 이항 산술 연산자는 2개의 피연산자를 산술 연산하여 숫자 값을 만드는 연산자이다. 종류는 다음과 같다. + : 덧셈을 의미한..
[JavaScript] - 데이터 타입 (Data Type)
·
📜 Web Programming/JavaScript
데이터 타입 데이터 타입은 “값의 종류”를 말한다. 자바스크립트의 모든 값은 데이터 타입을 가진다. 자바스크립트에서 지원하는 데이터 타입은 총 7개인데 다음과 같다. (숫자, 문자열, 불리언, undefined, null, 심벌, 객체) 다만, 이 포스팅에서 객체 타입은 거의 다루지 않도록 하겠다. 데이터 타입을 나누는 이유는 바로 다음과 같다. 값을 저장할 때 확보해야 하는 메모리 공간의 크기를 결정하기 위해서 값을 참조할 때 한 번에 읽어 들여야 할 메모리 공간의 크기를 결정하기 위해서 메모리에서 읽어들인 2진수를 어떻게 해석할지 결정하기 위해서 숫자 타입 (Number) C언어나 Java와는 달리 자바스크립트에서는 하나의 숫자 타입만 존재한다. 64비트 부동소수점 형식을 따르며 정수와 실수를 구분하..
[JavaScript] - 표현식과 문 (Expression, Statement)
·
📜 Web Programming/JavaScript
값 (Value) 값(Value)이란 “식(Expression)이 평가되어 생성된 결과”를 말한다. 모든 값은 “데이터 타입”을 가지게 되며 메모리에 2진수(비트)가 나열된 형태로 저장된다. 변수는 “하나의 값을 저장하기 위해 확보한 메모리 공간”이기에 변수에 저장되는 것 또한 “값”이다. 리터럴 (Literal) 리터럴(Literal)이란 “사람이 이해할 수 있는 문자 또는 약속된 기호를 사용하여 값을 생성하는 표기법”을 말한다. 숫자, 알파벳, (+, -, {}) 등과 같은 기호가 리터럴이다. 리터럴은 변하지 않는 데이터 그 자체를 의미하며(상수와는 다른 개념), 리터럴을 사용하여 다양한 종류의 "값"을 생성할 수 있다. (런타임에 평가되어 값을 생성한다) 표현식 (Expression) 표현식(Exp..
[JavaScript] - 변수 (Variables)
·
📜 Web Programming/JavaScript
변수 개요 변수는 하나의 값을 저장하기 위해 확보한 메모리 공간, 또는 그 메모리 공간을 식별하기 위해 붙인 이름을 말한다.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값을 저장하고 참조하는 메커니즘이다. 변수 이름: 메모리 공간에 저장된 값을 식별할 수 있는 고유한 이름 할당: 변수에 값을 저장하는 것 참조: 변수에 저장된 값을 읽어들이는 것 식별자 식별자란 어떤 값을 구별해서 식별할 수 있는 고유한 이름을 의미하며, 변수 이름을 식별자라고도 한다. 값은 메모리 공간에 저장되어있기에 식별자는 메모리에 저장된 어떤 값을 구별해서 식별해내야 한다. 그렇기에 식별자는 어떤 값이 저장된 “메모리 주소”를 기억해야 한다. 변수, 함수, 클래스 등 이름은 모두 식별자이며 이러한 식별자는 네이밍 규칙을 준수해야 한다. 식별자 네이밍 식별..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