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llo World!

It|

[Git] - 브랜치 기본 개념 (Basic Concept of Branch)
·
🛠 Tool/Git/Github
이번 포스팅에서는 git의 브랜치에 대한 명령어를 살펴보는 것이 아니라, 브랜치의 기본 개념에 대해서 알아봅니다. 즉, 이론 중심적인 포스팅입니다. 각각의 주제에 대한 명령어 포스팅들은 추후에 따로 올라갈 예정입니다. Branch(브랜치) 개요 깃에서 브랜치는 버전을 여러 흐름으로 나누어 관리하는 방법입니다. 브랜치를 사용하는 이유는 바로 "협업"을 위함입니다. 여러 개발자들이 동시에 작업을 할 때, 서로 영향을 받지 않고 작업을 진행할 수 있게 합니다. 브랜치를 통해 버전을 나누어 관리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브랜치를 나눈다. 각자의 브랜치에서 작업한다. 필요한 경우, 나눈 브랜치를 합친다. 이 과정들을 통해 더 간편하게 협업하고, 효율적으로 작업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어떤 프로젝트이든지 간에 ..
[Git] - 작업 되돌리는 방법 (git restore, git revert, git reset)
·
🛠 Tool/Git/Github
Git의 주요 특징 중 하나는 "작업을 되돌리는 것"입니다. 이것은 버전 관리 시스템의 핵심 기능입니다. 여러 버전을 나누고 기록된 버전으로 돌아가고 수정하고 복구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기본적으로 작업을 되돌릴 때 사용하는 git 명령어는 3가지가 있습니다. 각자 특정 상황에서 사용되기에 잘 알아두는 것이 중요합니다. 핵심만 요약해보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git restore: 파일을 되돌리고 싶은 경우, 사용한다. git revert: 커밋(commit)을 되돌리고 싶은 경우, 사용한다. git reset: 시간을 되돌려 어떤 시점으로 돌아가고 싶은 경우, 사용한다. 지금부터 Git에서 작업을 되돌리는 명령어들을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git restore 먼저, git restore 명령어는 ..
[Git] - 버전 기록과 변경 내역 보는 방법 (git log, git diff)
·
🛠 Tool/Git/Github
git add, git commit 명령어를 잘 숙지하고 있다면 이번 포스팅을 읽어나가는데 전혀 무리가 없습니다. 그러나 git add, git commit 명령어 개념을 숙지하지 못했다면 선수 포스팅(여기)을 먼저 읽고 이 포스팅을 읽기 바랍니다. git log git log 명령어는 저장소의 커밋 목록을 보는 명령어입니다. git log 명령어를 입력하면 다음과 같이 현재의 브랜치, 커밋 메세지와 작성자, 날짜 등이 기록된 커밋 목록을 볼 수 있습니다. git log git log 명령어는 다양한 옵션들이 있습니다. 그 중 주로 사용되는 git log 옵션들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git log --oneline git log 명령어 뒤에 "--oneline" 옵션을 붙일 수 있습니다. on..
[Git] - 버전 기록하는 방법 (git add, git commit)
·
🛠 Tool/Git/Github
모든 Git 포스팅은 Git 기본 개념 포스팅에 의존합니다. Git을 설치하고 작업 디렉토리, 스테이지, 저장소 개념을 잘 숙지하고 있다면 이 포스팅을 읽어나가는데 전혀 무리가 없습니다. 그러나 Git의 3가지 공간(작업 디렉토리, 스테이지, 저장소) 개념을 숙지하지 못했다면 선수 포스팅(여기)을 먼저 읽고 이 포스팅을 읽기 바랍니다. git add 작업 디렉토리에서 스테이지로 변경사항들을 올리는 것을 "스테이지에 추가(add)한다"라고 합니다. 이렇게 스테이지에 파일을 추가하는 명령어는 바로 "git add"입니다. git add git add 형식으로 파일을 스테이징할 수 있습니다. 예시로 a.txt라는 파일을 스테이지에 올리고 싶다면 git add a.txt 라고 입력하면 됩니다. git add 명..
[Git] - 상태창 여는 방법 (git status)
·
🛠 Tool/Git/Github
모든 Git 포스팅은 Git 기본 개념 포스팅에 의존합니다. Git을 설치하고 작업 디렉토리, 스테이지, 저장소 개념을 잘 숙지하고 있다면 이 포스팅을 읽어나가는데 전혀 무리가 없습니다. 그러나 Git의 3가지 공간(작업 디렉토리, 스테이지, 저장소) 개념을 숙지하지 못했다면 선수 포스팅(여기)을 먼저 읽고 이 포스팅을 읽기 바랍니다. git status git status git status 명령은 작업 디렉토리와 파일의 스테이지 영역의 상태를 나타냅니다. 즉, 파일의 상태들을 알 수 있습니다. 위와 같이, git status 명령어를 사용하여 파일들의 상태를 알 수 있습니다. 현재는 파일이 하나도 수정이 되지 않았음을 알 수 있습니다. 작업 디렉토리 파일의 분류 git status 명령을 잘 이해하려..
[Git] - Git의 기본 개념 (Basic Concept of Git)
·
🛠 Tool/Git/Github
Git 개요 Git은 개발자들이 규모가 있는 프로젝트에서 협업을 위한 툴로, 버전 관리 툴입니다. 버전 관리란 개념적으로는 "유의미한 변화가 결과물로 나온 것, 유의미한 변화가 결과물로 저장된 것"을 의미합니다. 개발자 관점에서 보면 코드로 무언가 변화를 결과물로 저장한 것입니다. 그렇다면 버전관리는 왜 필요할까요? 프로그램은 한 순간에 뚝딱 만들어지지 않습니다. 결국 작은 기능들이 모이고, 오류들이 수정되고, 많은 기능 변화와 수정, 삭제, 개선 과정이 이루어집니다. 이때 파일들을 하나하나 따로 저장하거나 파일을 덮어쓰기 해버릴 경우, 관리하기 어렵고 기존의 코드가 삭제되는 등 많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Git"이 등장했습니다. Git이 제공하는 주요 기능은 다음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