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드 와이드 웹 (World Wide Web)
월드 와이드 웹(= 웹)은 인터넷에 의하여 서로 "거미줄"처럼 연결되어 있는 수많은 사이트, 데이터, 멀티미디어 정보들을 언제 어디서나 필요한 곳에 접근할 수 있고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 시스템(정보 공간)이다.
인터넷 상의 다양한 정보를 효과적으로 검색할 수 있도록 문서를 하이퍼텍스트 형태로 표현하는 HTML을 사용하고, 이를 전송할 수 있는 HTTP 통신규약을 가지는 정보 서비스이다. 웹을 제대로 알기 위해 필요한 개념들을 하나하나 알아보도록 하겠다.
인터넷 (Internet)
인터넷은 TCP/IP 전송규약을 사용하여 연결된 모든 네트워크로, 1989년 웹 서비스의 개발은 인터넷을 쉽게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초창기에는 키보드를 이용한 텍스트 정보를 주로 다루었으나, 마우스와 GUI를 지원하는 웹 브라우저가 개발됨에 따라 인터넷이 더욱 활성화되었다.
하이퍼텍스트 (HyperText)
하이퍼텍스트는 웹 브라우저를 통해 웹 서버에서 문서나 웹 페이지 등의 정보 조각을 읽고 컴퓨터 모니터에 출력되어 시각적으로 보여진다. 그리고 사용자는 각 페이지의 하이퍼링크를 통하여 다른 문서나 서버로 쉽게 이동할 수 있다.
하이퍼미디어(HyperMedia)는 텍스트 위주의 문서가 링크로 연결되는 하이퍼텍스트를 넘어 텍스트 뿐만 아니라 이미지, 그래픽, 사운드, 비디오 등을 포함하는 정보가 링크로 서로 연결된 것이다. 다음과 같은 하이퍼시스템에서 정보를 보기 위해서는 브라우저가 필요하다.
웹 브라우저 (Web Browser)
웹 브라우저는 인터넷 망에서 정보를 검색하는데 사용되는 응용 프로그램이다. 서버에 접속하여 하이퍼텍스트 문서를 읽고 이를 사용 중인 컴퓨터에 시각적으로 보여준다. 하이퍼텍스트 뿐만 아니라 다양한 멀티미디어를 지원하는 검색 프로그램이며 구체적인 자료의 검색, 저장과 전송을 가능하게 한다. 웹 브라우저의 종류로는 다음이 있다.
- 크롬(Chrome): 구글에서 개발한 웹 브라우저로, 데스크톱 브라우저 시장에서 가장 높은 점유율을 차지한다.
- 익스플로러(Explorer): 마이크로소프트에서 개발한 웹 브라우저로, 2022년 6월 15일 익스플로러에 대한 공식 지원은 종료되었다.
- 엣지(Edge): 마찬가지로 마이크로소프트사에서 개발한 웹 브라우저이며, 익스플로러를 대체하는 웹 브라우저이다.
- 파이어폭스(Firefox): 모질라 프로젝트에서 독립되어 나온 게코 기반의 개방형 웹 브라우저로 , 웹 페이지 로딩 속도가 빠르다.
- 사파리(Safari): Apple사에서 개발한 웹 브라우저이다.
- 오페라(Opera): 오페라 소프트웨어에서 개발한 웹 브라우저이다.
웹의 발전사
웹이 발전하게 된 역사는 다음과 같다.
- 인터넷 환경의 변화와 인터넷을 통한 다양한 멀티미디어 정보 사용의 활성화되었다.
- 1939년 GUI 기반의 웹 브라우저 모자이크 개발되었다.
- 웹 컨소시엄(W3C)에서 웹에 관련된 기술을 개발하며, 표준화를 제정하고 진행한다.
웹 2.0 (Web 2.0)
웹 2.0은 일방적인 정보를 전달하는 방식을 넘어 인터넷에서 양방향으로 정보를 주고받아 서로 공유하며, 사용자가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고 정보 공유를 확대하는 사용자 중심의 인터넷 환경을 말한다. 웹 2.0이 가지는 주요한 특징으로는 "플랫폼으로서의 웹", "개방과 참여", "집단 지성의 활용", "가벼운 프로그래밍 모델", "풍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등이 있다. 결국, 웹 2.0은 데이터의 소유자나 독점자 없이 사용자가 직접 데이터를 다룰 수 있도록 하는 웹을 지향한다. 이러한 지향은 인터넷 사용자들과, 콘텐츠 제공자, 기업 간에 더 많은 협업을 가능하게 한다.
웹 2.0 기술을 대표하는 주요 서비스는 다음과 같다.
- 검색 서비스: 통신망에서 제공하는 정보 검색 서비스로, 데이터베이스 센터에 저장된 정보에 접근하는 능력을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 구글에서 검색 결과를 보여줄 때 문서의 중요도에 따라 결과 페이지의 상위에 나열하는 "페이지 랭크" 개념을 도입하며 검색 서비스 기능은 획기적으로 발전하였다.
- 팟캐스팅(PodCasting): 오디오 파일 또는 비디오 파일 형태로 뉴스, 드라마 등 다양한 콘텐츠를 인터넷 망을 통해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RSS 2.0 XML이나 RDF XML의 파일 형식을 사용하여 파일을 제공한다.
- 위키피디아(Wikipedia): 누구나 작성 가능한 다언어 판 인터넷 백과사전으로, 배타적인 저작권을 가지지 않기에 사용에 제약을 받지 않는다.
- UCC, UGC 사이트: UCC는 사용자가 직접 만든 제작물을 말하며, UGC는 사용자가 상업적인 의도없이 만든 콘텐츠를 말한다.
-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온라인 커뮤니티 서비스가 발전한 형태로, 사용자 간의 자유로운 의사소통과 정보 공유 등을 통해 사회적 관계를 생성하고 강화시키는 온라인 플랫폼을 말한다.
웹 3.0 (Web 3.0)
웹 3.0은 웹이 앞으로 어떻게 될 것인가를 정의할 때 쓰이는 용어로, 앞으로의 인터넷 발전에 대한 전망 또는 가설을 표현하는 단어이다.
웹 2.0이 참여와 공유로 정의되었다면, 웹 3.0은 지능형 웹 기술을 말하며, 컴퓨터가 시멘틱 웹 기술을 이용하여 웹 페이지에 담긴 내용을 이해하고 개인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는 기술을 말한다. 즉, 컴퓨터가 알아서 정보를 파악하고 이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보여주는 인공지능 웹이다.
웹 페이지 (Web Page)
웹 페이지는 인터넷 상의 웹 문서를 나타내는 표현이다. 웹 페이지는 HTML을 이용하여 작성되며, 웹 페이지는 다양한 텍스트, 이미지, 사운드, 비디오 파일 등으로 구성된다. 다른 인터넷 상의 문서와 서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하이퍼링크 기능이 필요하다.
HTML (HyperText Markup Language)
HTML은 웹 페이지를 작성할 수 있는 마크업 언어로, 웹 문서의 제목, 단락 등 본문을 위한 구조적 의미를 나타내고 링크, 인용과 그 밖의 항목으로 구조적 문서를 만들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확장자를 .html 또는 .htm으로 짖어하여 HTML 문서를 작성할 수 있다.
기타 웹 문서 표준
HTML 이외의 웹 문서의 표준으로는 다음이 있다.
- SGML(Standard Generalized Markup Language): 특정한 편집 시스템이나 응용환경에 제한을 받지 않는 기술적 마크업 언어이며, 국제 표준이다.
- XML(eXtexnsible Markup Language): 구조화된 문헌을 웹상에서 전송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표준화된 텍스트 형식이다. 확장 가능한 마크업 언어라 불리며 W3C에서 개발되었다.
- DHTML(Dynamic HTML): 기존의 HTML이 가지는 정적인 문서를 동적이고 생동감 있는 웹페이지로 만드는 기술이다.
웹 페이지에 동적 기능을 지원하는 기술
HTML이 가지는 정적인 특성을 보완하기 위하여 고안된 기술로는 자바스크립트, DHTML, JSP, PHP 등이 있고, 그 외에 애니메이션 기능을 위주로 한 플래시, 가상현실을 지원하는 VRML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