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베이스] - 관계 데이터 연산 (Relational Data Operation)
·
💻 Computer Science/데이터베이스
이번 포스팅은 데이터 모델링에 관한 기본적인 이해를 전제로 합니다. 데이터 모델링에 대해 알지 못하는 경우, 따로 공부를 하거나 "이 포스팅"을 참고한 후 이번 포스팅을 읽기 바랍니다.관계 데이터 연산의 개념관계 데이터 연산이란 원하는 데이터를 얻기 위해 릴레이션에 필요한 처리 요구를 수행하는 것이다. 대표적인 관계 데이터 연산으로는 "관계 대수"와 "관계 해석"이 있다. 그러나 관계 대수와 관계 해석은 상용화된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서는 잘 사용되지 않는 개념적 언어이다. 그럼에도 이를 이해하고 공부하는 것이 상용화된 데이터 언어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된다.관계 대수(Relational Algebra):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해 데이터의 처리 과정을 순서대로 기술한다. (절차 언어)관계 해석(R..
[Git] - 상태창 여는 방법 (git status)
·
🛠 Tool/Git/Github
모든 Git 포스팅은 Git 기본 개념 포스팅에 의존합니다. Git을 설치하고 작업 디렉토리, 스테이지, 저장소 개념을 잘 숙지하고 있다면 이 포스팅을 읽어나가는데 전혀 무리가 없습니다. 그러나 Git의 3가지 공간(작업 디렉토리, 스테이지, 저장소) 개념을 숙지하지 못했다면 선수 포스팅(여기)을 먼저 읽고 이 포스팅을 읽기 바랍니다. git status git status git status 명령은 작업 디렉토리와 파일의 스테이지 영역의 상태를 나타냅니다. 즉, 파일의 상태들을 알 수 있습니다. 위와 같이, git status 명령어를 사용하여 파일들의 상태를 알 수 있습니다. 현재는 파일이 하나도 수정이 되지 않았음을 알 수 있습니다. 작업 디렉토리 파일의 분류 git status 명령을 잘 이해하려..
[Git] - Git의 기본 개념 (Basic Concept of Git)
·
🛠 Tool/Git/Github
Git 개요 Git은 개발자들이 규모가 있는 프로젝트에서 협업을 위한 툴로, 버전 관리 툴입니다. 버전 관리란 개념적으로는 "유의미한 변화가 결과물로 나온 것, 유의미한 변화가 결과물로 저장된 것"을 의미합니다. 개발자 관점에서 보면 코드로 무언가 변화를 결과물로 저장한 것입니다. 그렇다면 버전관리는 왜 필요할까요? 프로그램은 한 순간에 뚝딱 만들어지지 않습니다. 결국 작은 기능들이 모이고, 오류들이 수정되고, 많은 기능 변화와 수정, 삭제, 개선 과정이 이루어집니다. 이때 파일들을 하나하나 따로 저장하거나 파일을 덮어쓰기 해버릴 경우, 관리하기 어렵고 기존의 코드가 삭제되는 등 많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Git"이 등장했습니다. Git이 제공하는 주요 기능은 다음과..
[데이터베이스] - 데이터 모델링 (Data Modeling)
·
💻 Computer Science/데이터베이스
데이터 모델링 "데이터 모델링"은 현실 세계의 데이터를 컴퓨터의 데이터베이스로 옮기는 변환 과정이다. 현실 세계의 데이터는 매우 방대하기에 필요한 데이터만 선별하여 데이터베이스로 옮겨야 한다. 이때 진행하는 것이 "추상화" 작업이다. 추상화 과정을 통해 찾은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때,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구조를 고려해야 한다. 먼저, 현실 세계의 중요 데이터를 개념 세계로 옮겨야 하는데 이것은 "개념적 모델링"이다. 그 후, 개념 세계의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구조를 결정하고 결정한 구조로 표현하는 것을 "논리적 모델링"이라고 한다. 이 두 과정을 통틀어 "데이터베이스 설계"라고 한다. 즉, 이 두 과정을 통해 데이터 모델링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데이터 모델링은 매우 복잡하기에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DataBase System: DBS)
·
💻 Computer Science/데이터베이스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의 정의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은 데이터베이스에 데이터를 저장하고, 저장된 데이터를 관리하여 조직에 필요한 정보를 생성해주는 시스템이다. 다양한 목적의 정보 처리 시스템을 구축하는데 필수적인 요소이다. 데이터베이스,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 데이터베이스 시스템(DBS) 개념들을 한 번에 정리해보도록 하겠다. 데이터베이스(DB): 데이터를 저장하는 공간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가 일관되고 무결한 상태로 유지되도록 관리하는 시스템 데이터베이스 시스템(DBS): 데이터베이스와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을 통해 조직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전체 시스템 데이터베이스의 구조 데이터베이스에 필수적인 개념인 스키마에 대해 먼저 알아보고 데이터베이스를 ..
[데이터베이스] -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DataBase Management System: DBMS)
·
💻 Computer Science/데이터베이스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의 등장 배경 과거에는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해 "파일 시스템"을 사용해왔다. 이는 데이터를 파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파일을 생성, 삭제, 수정, 검색하는 기능을 제공하며, 응용 프로그램별로 필요한 데이터를 별도의 파일로 관리한다. 파일 시스템은 구매 비용이 들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으나, 응용 프로그램별로 파일을 따로 유지하기에 여러 단점들이 발생한다. 같은 내용의 데이터가 여러 파일에 중복 저장된다. 응용 프로그램이 데이터 파일에 종속적이다. 데이터 파일에 대한 동시 공유, 보안, 회복 기능이 부족하다. 응용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쉽지 않다. 파일 시스템의 근본적인 문제는 "데이터 중복성"과 "데이터 종속성"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데이터를 통합하여 저장해야 하며, 또한 통합 ..
[데이터베이스] - 데이터베이스 기본 개념 (Basic Concept of Database)
·
💻 Computer Science/데이터베이스
데이터베이스의 필요성 현대 사회에서 중요한 가치 판단의 기준이 되는 "정보"는 매우 중요하다. 정보란 데이터(data)를 의사 결정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처리하여 체계적으로 조직한 결과물을 말한다. 그렇다면 "데이터"란 무엇인가? 데이터는 현실 세계에서 관찰되거나 측정하여 수집한 사실이나 값을 의미한다. 자료라고 불리기도 한다. 데이터에서 정보를 추출하는 과정 또는 방법을 "정보 처리"라고 하는데, 결국 이 정보 처리가 얼마나 잘 진행되는지가 중요한 것이다. 좋은 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정확한 데이터를 많이 수집해야 하며 수집한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저장했다가 필요할 때 바로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한 수단을 정보 시스템이라고 하는데, 정보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저장하고 필요할 때 제공하는 핵..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