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llo World!

|

[성막과 성전] Ch 1. 성막은 예수 그리스도이다
·
🙏🏼 Shekinah Glory/성막과 성전 살펴보기
성막은 하늘에 있는 것들의 모형과 그림자입니다. 예수 그리스도의 모형이며, 교회의 모형이며, 성도의 모형입니다. 성막과 성전에 대한 내용은 성경 전체의 약 1/24 만큼을 차지할 정도로 내용이 많고 또한 그만큼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성막의 개념을 잘 알아야 신구약 성경을 제대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많은 사람들은 성막 내용을 어려워 하며 또한 등한시합니다. 이번 성막과 성전 포스팅 시리즈들을 통하여 성막에 대해서 제대로 공부해봅시다~성막의 개념성막은 한 마디로 하나님을 만나는 장소입니다. 성막은 히브리어로 "미쉬칸"이라고 하는데 이는 "Dwelling Place", 즉 "거하는 장소"를 말합니다. 바로 하나님께서 거하시는 장소가 바로 성막인 것입니다. 하나님께서는 천지를 지으시는 창조주이시..
[자료구조] - 트리, 이진 트리 (Tree, Binary Tree)
·
💻 Computer Science/자료구조-알고리즘
트리의 정의 우리가 여태 알아본 연결 리스트, 스택, 큐와 같은 자료구조들은 선형으로 나열된 선형 자료구조입니다. 반면 오늘 알아볼 "트리"는 대표적인 계층적 구조를 가진 자료구조입니다. 즉, 비선형 자료구조입니다. 비선형 자료구조는 자료들의 앞뒤 관계가 1:n 또는 n:n인 자료들을 구현하기에 적절합니다. "트리"는 이렇게 계층적인 구조를 표현하는데 아주 적합한 자료구조입니다. 트리 자료구조를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알아야 하는 용어들이 많습니다. 차근차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노드(Node): 트리의 구성 요소에 해당하는 A, B, C, D, E, F, G, H, I, J입니다. 루트(Root): 계층적인 구조에서 가장 높은 곳에 있는 노드(A)가 루트입니다. 서브트리(Sub-Tree): 기존의 ..
[백준] 10430번: 나머지 [C/C++]
·
📑 Coding Test/백준 알고리즘
https://www.acmicpc.net/problem/10430 10430번: 나머지 첫째 줄에 A, B, C가 순서대로 주어진다. (2 ≤ A, B, C ≤ 10000) www.acmicpc.net 문제: 10430번 나머지 문제 풀이(Problem Solve) #include using namespace std; int main() { int a, b, c; cin >> a >> b >> c; cout
[백준] 3003번: 킹, 퀸, 룩, 비숍, 나이트, 폰 [C/C++]
·
📑 Coding Test/백준 알고리즘
https://www.acmicpc.net/problem/3003 3003번: 킹, 퀸, 룩, 비숍, 나이트, 폰 첫째 줄에 동혁이가 찾은 흰색 킹, 퀸, 룩, 비숍, 나이트, 폰의 개수가 주어진다. 이 값은 0보다 크거나 같고 10보다 작거나 같은 정수이다. www.acmicpc.net 문제: 3003번 킹, 퀸, 룩, 비숍, 나이트, 폰 문제 풀이(Problem Solve) #include using namespace std; int main() { int chess[6]; int count[6] = {1, 1, 2, 2, 2, 8}; for(int i = 0; i > chess[i]; cout
[백준] 18108번: 1998년생인 내가 태국에서는 2541년생?! [C/C++]
·
📑 Coding Test/백준 알고리즘
https://www.acmicpc.net/problem/18108 18108번: 1998년생인 내가 태국에서는 2541년생?! ICPC Bangkok Regional에 참가하기 위해 수완나품 국제공항에 막 도착한 팀 레드시프트 일행은 눈을 믿을 수 없었다. 공항의 대형 스크린에 올해가 2562년이라고 적혀 있던 것이었다. 불교 국가인 태국 www.acmicpc.net 문제: 18108번 1998년생인 내가 태국에서는 2541년생?! 문제 풀이(Problem Solve) #include using namespace std; int main() { int year; cin >> year; cout
[자료구조] - 연결된 스택, 연결된 큐 (Linked Stack, Linked Queue)
·
💻 Computer Science/자료구조-알고리즘
연결 리스트로 구현한 스택 (Linked Stack) 지난 스택에 관한 포스팅(여기)에서는 스택을 구현할 때, "배열"을 이용해서 구현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연결 리스트로 구현하고자 합니다. 어찌 되었든 스택을 구현하는 것이기에 배열을 이용하나, 연결 리스트를 이용하나 외부적으로 볼 때는 큰 차이가 없습니다. 그러나, 스택의 내부를 살펴보면 차이점이 있습니다. 바로 배열과 달리, 연결 리스트로 구현한 스택은 "크기에 제한을 받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동적 메모리 할당을 통해 스택에 새로운 요소를 삽입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삽입과 삭제 시에 동적 메모리 할당을 하고 해제해야 하기 때문에 시간이 조금 더 걸립니다. 연결된 스택(Linked Stack) 구현 C언어로 구현한 연결된 스택은 다음과 같습니..
[자료구조] - 원형 연결 리스트, 이중 연결 리스트 (Circular Linked List, Doubly Linked List)
·
💻 Computer Science/자료구조-알고리즘
이번 포스팅은 "단순 연결 리스트"를 이해했다는 전제 하에 내용을 진행합니다. 단순 연결 리스트에 대해 잘 알지 못한다면 이전 포스팅을 참고해주시고 그 후 이 포스팅을 읽어주세요 (단순 연결 리스트 공부하기) 원형 연결 리스트의 정의 원형 연결 리스트는 단순 연결 리스트와 달리 "마지막 노드가 첫 번째 노드를 가리키는 리스트"입니다. 즉, 마지막 노드가 NULL 값을 가지는 것이 아니라 첫 번째 노드 주소값을 가지는 것입니다. 원형 연결 리스트는 하나의 노드에서 모든 노드로의 접근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링크를 따라가다가 보면 모든 노드에 접근한 후, 다시 처음으로 돌아오게 되는 것입니다. 이렇게 되면 노드의 삽입과 삭제 연산이 기존 단순 연결 리스트보다 더욱 단순해지게 됩니다. (삽입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