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llo World!

|

[Git] - 브랜치 사용하는 방법 (git branch, git switch)
·
🛠 Tool/Git/Github
과거에는 git checkout 명령어를 통하여 브랜치 간 전환 및 작업 복구를 했습니다. 그러나 git checkout 명령어 하나에 너무 많은 기능이 담겨 있어서 최근 들어서는 git checkout 명령어는 git switch, git restore 명령어로 대체되었습니다. git restore 명령어는 이 포스팅에서 알아보았고, 이번 포스팅에서는 git에서 브랜치를 사용하는 방법과 git switch 명령어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git branch git에서 브랜치는 협업을 하기 위하여 현재 작업의 분기를 여러 갈래로 나누기 위하여 사용됩니다. 브랜치를 나누는 것은 곧 현재 작업 중인 프로젝트 코드의 복사본을 만드는 것입니다. git branch 브랜치명 위의 명령어를 통하여 새로운 브..
[회고] - 2023년 돌아보기 (Retrospective of 2023)
·
🙏🏼 Shekinah Glory/Quiet Time (생각 정리)
이맘때쯤이면 많은 개발 회고록들을 볼 수 있다. 블로그를 운영하는 개발자 분들이라면 거의 대부분 회고를 작성하는 것 같다. 나 또한 회고록을 작성해보고 싶었고 처음으로 회고록을 작성해보게 되었다. 비록 미숙한 글 솜씨지만 미래의 나를 위한 기록으로 글을 남겨보고자 한다. 나는 "신앙", "개발", "블로그", "일상", "목표" 이렇게 5가지 카테고리로 나누어서 글을 작성하겠다. 1. 신앙 (Faith) 청년부 리더 (부회장) 올해의 신앙 생활에서 가장 기억에 남았던 것은 바로 "청년부 리더"로서 보낸 시간들이었다. 작년에도 우리 교회의 청년부 부회장을 맡았었는데, 올해도 감사하게도 청년부 부회장을 또 감당하게 되었다. 개인적으로 생각하기로는 2022년은 청년부 내에서 뭔가 삐걱거리는 것도 많았고 은근한..
[프로그래밍 언어론] - 객체지향과 다형성 (完)
·
💻 Computer Science/프로그래밍 언어론
프로그래밍 언어의 추상화 프로그램은 실세계의 대상을 컴퓨터에 나타내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기에 반드시 추상화 과정이 필요하다. 지금부터 추상화가 무엇인지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추상화 (Abstraction) 추상화는 복잡한 대상을 간략하게 나타내는 것을 말한다. 추상화는 코드를 더욱 간결하게 작성하고 이해하기 쉽게 만들어주어 개발자가 더욱 효과적으로 프로그램을 관리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추상화는 대상의 관심있는 부분만 추려내는 방법과 대상의 관심 없는 부분을 삭제하는 방법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제공하는 추상화 종류는 다음과 같다. 제어 추상화(Control Abstraction): 현실에서 복잡한 제어 과정을 하나 혹은 여러 개의 간결한 이름으로 나타내는 과정이다. 주로 ..
[프로그래밍 언어론] - 서브프로그램 (Subprogram)
·
💻 Computer Science/프로그래밍 언어론
서브프로그램 정의 서브프로그램(Subprogram)이란 독자적인 입력과 출력을 갖춘 프로그램 조각을 말한다. 프로그램이 사용자의 입력을 받아 처리를 거친 후 사용가 원하는 출력을 제공하듯, 서브프로그램은 다른 프로그램의 코드로부터 입력을 받고 다른 프로그램 코드에 출력을 제공한다. 이때 서브프로그램의 입력을 인수(Arguments)라고 하고, 서브프로그램의 출력을 반환값(Return Value)라고 한다. 다만 모든 서브프로그램이 인수를 받고 반환값을 내는 것은 아니다. 서브프로그램이 가지는 특징은 다음과 같다. 한 개의 입구: 서브프로그램으로 들어가는 입구는 단 한 개이다. 여러 개의 출구: 서브프로그램에서 나가는 출구는 여러 곳이 될 수 있다. 기본 출구와 반환: 서브프로그램의 맨 끝은 자동적으로 출..
[프로그래밍 언어론] - 문장 (Statement)
·
💻 Computer Science/프로그래밍 언어론
문장 (Statement) 문장은 처리를 나타내는 표현이다.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하여 프로그램은 변수, 연산, 서브프로그램 등을 이용한다. 문장은 기본적으로 선언문과 실행문으로 분류된다. 선언문(Declaration Statement): 변수명과 타입 등을 바인딩하여 이후에 해당 변수에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실행문(Execute Statement): 실제로 변수, 서브프로그램 등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처리한다. 지금부터 실행문에 해당하는 다양한 문장들을 알아보도록 하겠다. 대입문 (Assignment Statement) 프로그램에서 가장 자주 사용되는 문장으로 변수의 값을 변경한다. 대입 연산자를 이용하여 대입 연산자의 오른쪽 부분의 값을 대입 연산자의 왼쪽에 있는 변수의 값으로 대입한다. int A,..
[프로그래밍 언어론] - 표현식 (Expression)
·
💻 Computer Science/프로그래밍 언어론
표현식 정의 표현식이란 값을 나타내는 표현이다. 이때 값은 숫자 뿐만 아니라 문자열도 해당되며 이들을 나타내는 식을 표현식이라고 한다. 표현식은 피연산자와 연산자로 구성되어 하나의 값을 나타낸다. 표현식에는 피연산자와 연산자가 반드시 모두 포함될 필요는 없다. 피연산자(Operand): 데이터 표현 자체(리터럴) 자체일 수도 있고 값이 저장된 변수일 수도 있다. 연산자(Operator): 연산을 수행하는 함수로, 기본적인 사칙연산자와 함수와 같은 값을 반환하는 서브프로그램도 포함된다. 표현식과 연산자 표현식에서 사용하는 연산자는 아주 다양하다. 그 중 대부분의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연산자들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산술 연산자 (Arithmetic Operators) 산술 연산자에는..
[멀티미디어] - 미래의 멀티미디어 (完)
·
💻 Computer Science/멀티미디어
유비쿼터스 (Ubiquitous) 유비쿼터스란 언제 어디서나 정보를 원활하게 보내고 받을 수 있는 환경을 말하며, 현실 세계의 모든 대상물들을 기능적, 공간적으로 연결하여 사용자에게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기반의 기술이다. 유비쿼터스의 특징으로는 다음과 같다. 유비쿼터스는 네트워크에 접속되어야 한다. 유비쿼터스는 사용자에게 보이지 않아야 한다. 가상공간이 아닌 현실 세계의 어디서나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유비쿼터스는 사용자에 따라 서비스가 달라져야 한다. 유비쿼터스 환경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자원들을 하나로 연결할 수 있는 네트워크 인프라와 함께 사용자가 자연스럽게 컴퓨팅 자원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시스템이 제공되어야 한다. 이러한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사용자의 개입..